가요차트
방송현황 검색
매체별 차트
지역별 차트
작품자 차트

스타뮤직

스타뮤직_CLOSE

대체불가의 음색을 지닌 양하영의 신곡 '해당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케이아이
작성일24-05-30 09:21 조회13,279회 댓글0건

본문

967d3652ac6b7243cd686e6e69c3ac13_1717028
 

대체불가의 음색을 지닌 양하영의 신곡 해당화

부모님 추억을 기리는 고운 발라드

우리 모두는 연약한 아기로 태어나 누군가의 보살핌 속에 성장한 사람들이다. 부모님 혹은 조부모님, 또는 혈연관계가 아니더라도 나를 기르고 지켜주신 어른의 손길이 있었다.

 

그 어른을 하늘로 떠나보낸 뒤 그 사랑을 그리워하고 추억하는 새로운 노래가 가정의 달을 맞아 등장해 관심을 모으고 있다. 어른이 부르는 어버이날의 노래가 등장한 셈이다.

 

구름이 되어 하늘이 되어 편안하게 날아가세요. 별이 눈 뜬 오늘밤에도 꿈이 되어 찾아오세요. 함께 꿈을 꾸어주세요.”

 

가슴을 울리는 맑고 고운 목소리의 주인공 양하영이 오랜만에 신곡 해당화를 들고 팬들에게 돌아왔다. 가정의 달을 맞아 부모님을 그리워하며 추억을 떠올리는 가슴 시린 멜로디로 세상의 불효자들이 눈물을 찔끔거리게 만들고 있다.

 

자식을 키우고 지키기 위해 온갖 간난을 헤쳐 나가던 부모님의 모습을 척박한 모래땅에서도 꽃을 피워내는 해당화에 비유한 발라드. 통기타와 바이올린의 앙상블이 미국의 포크송 가수 존 바에즈도 울고 갈만큼 청아한 음색을 지닌 양하영의 고운 노래를 장식하고 있다.

 

양하영은 얼마 전 여류 싱어-송라이터 겸 프로듀서 미기가 진행하는 음악방송 미기쇼에 출연했다. 미기는 당시 양하영에게 선배님에게 어울리는 곡이 있다면서 자신이 작곡해두었던 해당화를 라이브로 선보였다.

 

양하영이 그 자리에서 마음에 든다고 말하면서 신곡 해당화가 주인을 만났다. 노랫말은 미기의 작곡팀 비이크루의 김창진이 썼다.

 

김창진은 돌아가신 할머니의 사랑을 회상하다가 할머니의 성함 해당(海當)에서 영감을 얻어 해당화를 소재로 시를 썼다고 한다. 그 시에 미기가 곡을 붙여 노래가 만들어졌다.

 

미기는 자신이 발표한 어른 동요 콘셉트의 보라빛 메아리처럼 해당화도 어른들이 부르는 어버이날의 노래 같은 느낌으로 선율을 만들었다. 또 베테랑 뮤지션 서창원과 윤정노가 편곡을 맡아 동화 같은 노래를 완성시켰다.

 

어른들이 부르는 어버이날의 노래

양하영은 돌아가신 부모님이 생각난다면서 한 마디 한 마디 소중하게 온 마음을 담아 노래했다고 한다. 듣는 이들이 그리운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고마움을 생각하며 추억에 빠질 수 있다면 좋겠다고 말했다.

 

서울 영등포에서 태어난 양하영은 중학교 2학년 때 기타를 배우기 시작했다. 큰언니와 둘째언니가 모두 기타 연주를 했기 때문에 어깨너머로 배우다가 독학으로 익혔다고 한다.

 

학교에선 합창부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81년 통기타 가수의 산실 명동 쉘부르 오디션에서 발탁돼 솔로 가수로 나서면서 무대 가수로 데뷔했다. 이후 쉘부르 소속 가수의 자격으로 각종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노래할 정도로 출중한 실력을 과시하고 있었다.

 

양하영은 1983년 교회 성가대에서 만난 강영철과 혼성 듀엣 한마음을 결성하면서 파죽지세로 스타덤에 올랐다. 킹 레코드란 프로덕션을 운영하며 신중현 김추자 펄시스터스 박인수 양희은 등 수많은 스타들을 발굴한 전설적인 히트메이커 킹박박성배 사장에게 스카우트돼 그가 설립한 서라벌레코드사를 통해 공전의 히트곡 가슴앓이가 수록된 한마음의 데뷔 앨범을 발표한 것.

 

이어서 꿈이여 사랑이여가 히트하며 한마음은 정상의 인기를 누렸다. 탁월한 작곡가 강영철과 불세출의 가창력을 지닌 양하영으로 구성된 한마음은 이후 갯바위’, ‘말하고 싶어요’, ‘친구라 하네’, ‘사랑살이등을 연이어 히트시켰다.

 

1987년 한마음이 해체되고 혼자가 된 양하영은 1988촛불 켜는 밤’(양하영 작사·이현우 작곡)을 발표하며 솔로 가수로 활동을 시작했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한마음 시절 작사 작곡은 강영철이 담당하고 양하영은 노래만 불렀는데 이번에는 자신이 직접 가사까지 써서 대히트를 기록했다는 점이다.

 

1989년 애절한 창법의 발라드 영원한 사랑인줄 알았는데’(이현우 작사·), 록 취향의 예감’(이현우 작사·)을 연이어 발표한 데 이어 2018가슴 뭉클하게 살아야 한다’(양광모 작사·양하영 작곡)를 내고 팬들의 사랑을 받았다. 대체 불가의 독보적인 음색을 지닌 양하영의 신곡 해당화를 들으며 그리운 분들을 가슴으로 추억해보자.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STAR FOCUS

뮤지션 김연준의 '강남의 밤'이 감미로워요

트롯 여가수 금도희의 부전여전 포복절도 데뷔기

(사)한연총 가수협회 제22대 윤천금 회장 재신임